[산경e뉴스] 전세계 기술수준 1위인 배터리산업의 나라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2024년 '인터배터리 전시회'가 올해 12번째를 맞아 역대 최대 규모인 579개 기업, 기관들이 참여했다.
배터리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놓고 각축전을 벌인다.
6일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8일까지 코엑스 B홀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를 포함해 미국, 일본, 중국, 독일, 캐나다 등 18개국 정부, 기업들이 참여하는 등 전세계로부터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전시회 최대 화두는 글로벌 개발 경쟁이 치열한 전고체 배터리이다.
2027년 양산을 목표로 기술을 개발중인 삼성SDI를 필두로 국내 스타트업인 티디엘, 메그나텍, 지엘비이 등이 참가해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삼성SDI는 전시회를 통해 전고체 개발 현황과 구체적인 양산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저가 중국산 논란이 되고 있는 LFP 등 보급형 배터리도 이번 전시회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SK온은 기존제품보다 저온에서 충방전 용량을 10%이상 높인 윈터프로라는 제품을 선보였다.
엘앤에프는 시장 출시를 앞두고 LFP용 양극재를 공개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LFP ESS셀과 함께 니켈 함량을 낮춰 가격 경쟁력을 높인 미드 네켈(Mid-Nickel) NCM 배터리를 전시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보급형 배터리외에도 모듈을 생략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셀투팩(Cell to Pack) 기술도 공개할 예정이다.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 강화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재사용 기술도 이번 전시회의 주요 주제다.
성일하이텍, 고려아연, 에코프로 등의 기업들은 사용후 배터리로부터 원재료를 확보하는 리사이클링 기술과 공정에서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공법을 소개한다.
이날 개막식에는 에너지분야 2차관 대신 산업분야 총괄인 강경성 1차관이 참석했다.
강 차관은 최근 글로벌 기술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차세대 배터리 개발 본격화 ▲LFP 등 보급형 기술 확대 ▲친환경 기술 강화 ▲원통형 배터리 등 표준 및 자동화 기술 확산 등을 지적하고 “정부는 앞으로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맞춰 기업 수요를 적극 반영한 연구개발(R&D) 과제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산경e뉴스(http://www.skenews.kr)
재생e가 가져온 게임체인저 '분산에너지'...6월 시행 코앞 우리에게 어떤 이익 줄까? (0) | 2024.03.11 |
---|---|
청년들이 알하고 싶은 산단 조성...환경개선에 1.2조원 투입 (0) | 2024.03.08 |
[에너지이슈] "RE100이냐 CFE냐" 산업계 탄소중립 대책 오리무중...반도체협회 "원전 중심으로 할거면 국제사회 확답 받아달라" (1) | 2024.03.06 |
한전 적자 1년새 28조원 개선...3차례 전기료 인상, 유가하락 따른 연료비 감소 원인 (0) | 2024.03.04 |
UAE 바라카원전 100% 가동 확인...최종호기인 4호기 최초임계 도달 확인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