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e뉴스] 발전기 전력생산량은 원자력발전이 재생에너지에 비해 월등히 높지만 발전원별 종사자 수로 계산할 때는 재생에너지가 원전에 비해 4배 많아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실익 면에서는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양이원영(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발전원별 종사자수 현황’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산업 분야 일자리수가 원자력 산업 분야보다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가 제출한 발전원별 종사자수에 따르면 2022년에 조사한 2021년 기준 일자리수는 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우 13.9만명으로 원자력 산업의 3.5만명보다 4배 많았다.
산업부가 각 발전사로부터 취합한 석탄 산업 종사자수는 2022년 기준 1.3만명으로 재생에너지보다 10배 이상 적었다.
태양광 산업 종사자수는 12.5만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생에너지 산업 종사자수의 약 90% 수준이다.
원자력 산업보다 3.6 배, 석탄 산업보다 9.6배 많은 사람들이 태양광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이다.
재생에너지의 일자리 창출 효과는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증명되고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와 국제노동기구(ILO)의 ‘재생에너지 및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부문 일자리수는 1270만 개로 2020년 대비 70만 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양광 부문 일자리는 전체 재생에너지 일자리수의 1/3 이상을 차지하며 일자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는 2030년에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1억3900만 개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 두 기관의 분석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이 2020년 발간한 '재생에너지 확대 시 에너지 관련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도 재생에너지 일자리 창출 효과가 증명된 바 있다.
에너지공단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10억원을 투입할 때 풍력에서는 6.3명, 태양광에서는 6.1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원전은 풍력보다 마이너스 1.4 배, 태양광보다 마이너스 1.3배인 4.6명이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화석연료 일자리 창출이 가장 적은 것으로 예측했다.
2030년 10억원 투입 시 ▲석탄은 1.1명 ▲가스 2.4명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풍력발전의 적극적인 보급을 통해 풍력발전이 가진 일자리 창출 잠재력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202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에 따르면 2021년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전년대비 64MW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산경e뉴스(http://www.skenews.kr)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2차 방류 오늘부터...1차 때와 같은 7800루베 17일간 방류 (1) | 2023.10.05 |
---|---|
[해외에너지] 한전, 세계 최대 신재생시장 中과 신사업 추진 확대 (1) | 2023.10.04 |
가스공사, 대구경북 상생 "한걸음 더"...경북대 등 유관기관 25곳 산학연관 협의체 구성 (0) | 2023.09.22 |
[산경칼럼] IAEA 핵 평화적 이용기관, 국제적 리더십 보여주어야 (0) | 2023.09.20 |
전력거래소, 나주 플로깅 캠페인 동참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