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e뉴스] 정부가 대한민국의 지속성장을 위해 핵심 수출품목인 반도체산업을 글로벌 과학기술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지원을 재확인했다.
오는 2047년까지 예정된 622조원의 민간 투자를 적극 지원해 세계 최대, 최고의 반도체 생산기지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15일 밝혔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경기도 평택, 화성, 용인, 이천, 안성, 성남 판교, 수원 등 경기 남부의 반도체 기업과 관련기관이 밀집한 지역 일대를 말한다.
올해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가속화하고 반도체 수출 1200억 달러, 민간투자 60조 원 이상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소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국민과 함께 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보고했다.
현재 19개의 생산팹과 2개의 연구팹이 집적된 메가 클러스터에는 오는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를 통한 총 16개(생산팹 13개, 연구팹 3개)의 신규팹이 신설될 예정이다.
특히 2027년에는 생산팹 3기, 연구팹 2기를 완공할 전망이다.
메가 클러스터는 2102만 제곱미터(㎡) 면적에 2030년 기준 월 770만장의 웨이퍼를 생산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등 세계 최대 규모다.
정부와 기업은 연관 소재·부품·장비 기업, 공공 반도체 연구소, 팹리스, 인재를 양성하는 다수의 대학들이 위치한 메가 클러스터에 HBM 등 최첨단의 메모리 생산과 2나노미터(nm) 이하 공정 기반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여 세계 최고의 반도체 생산기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팹 신설은 그 직접적인 경제효과는 물론 소부장, 팹리스 등 협력기업 생태계의 동반성장과 650조원의 생산 유발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메가 클러스터 내 팹 건설이 시작되면 팹에 들어가는 장비 생산과 원자재 제조업체의 생산도 함께 늘어 약 193만명의 직접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출처 : 산경e뉴스(http://www.skenews.kr)
[반도체 해설] 15일 반도체 민생토론회 주요내용은?...선진경제 버팀목 반도체 "국가간 경쟁서 우위 확보" (0) | 2024.01.16 |
---|---|
취약계층 전기요금 인상 유예기간 1년 연장 (0) | 2024.01.16 |
'반도체'로 대한민국 지속성장 엔진 단다...윤석열 대통령 15일 민생토론회서 재확인 (0) | 2024.01.15 |
원안위, 원자력안전 R&D 작년보다 19% 줄어든 403억원...SMR 예산은 3배 늘어난 68억원 (1) | 2024.01.15 |
고효율기기 지원사업 750억원 확대...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추가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