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 주도 CF연합 독일에 가능성 첫 타진... CF연합 출범 3일만에 첫 파트너로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차관 접촉

에너지

by 산경e뉴스 2023. 10. 30. 15:59

본문

728x90

기후위기 공동대응 첨단산업, 탄소중립 협력 강화방안 논의...산업부, CFE 이니셔티브 추진 기구인 'CF연합’ 공식 출범

[산경e뉴스] 정부가 27일 무탄소(CF) 연합을 출범하고 국제적 규범 논의를 선도한다고 밝힌 가운데 재생에너지 정책을 선도하는 독일에 무탄소연합(CFA)을 30일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30일 오전 방한중인 독일 우도 필립(Udo Philipp)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사무차관과 면담(bilateral dialogue)을 갖고 양국 첨단산업,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안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양국의 탄소중립 협력 강화를 위해 지난 9월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안한 CFA 무탄소연합(Carbon Free Alliance)을 소개하고 독일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무탄소(CF) 연합 출범식이 27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을 비롯한 SK하이닉스, 현대차, LG화학, 포스코, 한화솔루션, GS에너지, 에너지공단 등 회원사, 국제 연구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독일은 메르켈 정권 당시 원전폐로 정책을 추진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국제 가스가격 급등으로 원전 복귀 정책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7일 오전 10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한전, 한수원, 삼성전자, GS에너지, 포스코 등 회원사 대표 및 국책 연구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무탄소(CF) 연합(Carbon Free Alliance)'을 출범했는데 그 첫번째 협의국이 독일이 된 것이다.  

무탄소(CF) 연합은 윤 대통령이 국제연합(UN) 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안한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추진을 위한 핵심 기구다.

재생에너지 100%를 추진하는 RE100과 달리 CFE는 재생에너지 뿐만 아니라 무탄소 전원인 원전을 중심으로 하는 기후대응 체계다. 

러시아-우쿠라이나 전쟁 이후 가스 가격이 폭등하는 것을 지켜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가들이 비상시 에너지안보 치원에서 원전의 역할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한국정부가 전세계를 대상으로 CF연합을 제안하는 모양새다.  

양국은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8) 공식출범을 목표로 기후클럽을 통해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방안을 활발히 논의 중이다. 

정부는 오는 12월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와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를 계기로 각종 국제세미나와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여해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에 대한 국제사회 공감대 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출처 : 산경e뉴스(http://www.skenews.kr)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