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e뉴스] 재생에너지 전환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주된 이유는 탄소중립을 하기 위해서이지만 또다른 경제적 측면에서 원전, 화력발전 등 대형 건설사업과 달리 소규모 분산형 지역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국책 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연구논문이 이같은 기대치를 입증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연말 연구를 완료하고 최근 발표한 '재생에너지 확대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2022 4/4)'에 의하면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확대하면 기준 전망치 대비 비숙련 및 숙련 노동의 실업률이 각각 0.54%p, 0.14%p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확대하고 태양광의 생산성이 증가하면 비숙련노동 실업률은 추가로 0.1%p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 참조>
즉 비숙련 및 숙련 노동 실업률이 기준 전망치 대비 0.64%p, 0.14%p 감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태양광의 생산성 향상이 실업률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국회 산업위 소속 양이원영(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이같은 연구결과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실업률 감소 및 경제 활성화의 부양책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라며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Arthur Melvin Okun)은 경제성장률이 2% 증가해야 실업률이 1%p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바 있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통한 잠재 경제성장효과가 결코 적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에경연의 이번 연구자료를 지적한 양이원영 의원실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가 대형 국책사업인 원전 건설에 집착하고 태양광발전사업을 축소하고 혐오시하는 이유 중 하나가 대기업 중심의 토건세력과 말착돼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태양광 재생에너지 전환사업은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는 전임 정부의 추진과정에서 입증된 사실을 현 정부가 부정한 것이고 국책 연구기관에서 이를 확인해준 결과"라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이번 연구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재생에너지 증가 없이 탄소규제만 강화할 경우, 비숙련 및 숙련 노동 실업률은 기준 전망치보다 각각 5.14%p, 1.21%p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 목표를 달성할 경우, 이러한 실업률 상승도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출처 : 산경e뉴스(http://www.skenews.kr)
국민연금공단 "ESG 투자 외면"...탈석탄 외치곤 재생e 설치율 26% 불과 (0) | 2023.09.20 |
---|---|
[미담] 이창양 장관의 마지막 선물 "전력거래소 커피차" (0) | 2023.09.20 |
'꽃들에게 희망을' 저자 트리나 폴러스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태평양 방류에 우려 표명 (1) | 2023.09.18 |
한수원 한울 4호기, 14일 오후 6시 출력 중단 (0) | 2023.09.15 |
전기안전공사 ‘2023 사고조사 세미나’ 개최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