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e뉴스] 미국, 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무탄소 에너지 확대, 에너지 자립 안보 등을 위해 대규모 전력망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탄소중립, 에너지안보, 무탄소전원, 전기화 등 전력망이 수용할 요소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일 최대 전력수요가 1억kW에 육박한 우리나라도 전기화(electrification)와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산업 신규 투자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등으로 대규모 전력망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경직성 전원인 재생에너지가 지난 5년간 급증한 결과, 낮시간대 기존 송전망으로는 원전과 병합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해 어느 한쪽을 감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전세계 전력수요는 전기화(electrification) 등의 영향으로 크게 증가하고 그에 따른 전력망도 대폭 확충될 것으로 전망된다.
IEA(국제에너지기구)는 2030년과 2050년 전세계 전력수요가 2021년 전력수요(24,700TWh) 대비 각각 37%, 152% 증가한 33,733TWh와 62,159TWh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EA는 2050년 전력망의 총 길이는 2021년 대비 90%가 증가하고 이를 건설하기 위해 2050년까지 연평균 5800억 달러(약 785조 원)의 비용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전력거래소에 의하면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최대전력수요는 2022년 기준 106% 증가했고 같은 기간 발전설비용량은 161% 증가했다.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 의하면 향후 전력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그에 따른 전력망 또한 대폭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36년 최대전력 수요는 지난 2023년 1월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효율향상, 부하관리 등 수요관리를 감안하더라도 1억1800만k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23년 4월 확정한 제10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은 오는 2036년까지 2021년 대비 송전선로 64%, 변전소 38% 수준의 추가 건설을 예정하고 있다.
문제는 계획을 세워도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갈등확산으로 건설지연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력설비는 수혜자-피해자 불일치의 한계를 지닌 대표적 비선호시설로써 망 건설시 주민과의 갈등이 구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력망 건설에 따른 운영편익은 모든 이용자에게 균등하나 피해는 인접 주민에게 집중하고 있다.
경과지 인근 주민과의 갈등과 민원이 지자체, 환경단체, 국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확대돼 사업지연 요인이 다양화, 복잡화되는 양상이다.
문제는 망 부족 심화 시 국가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끼치고 전력산업 생태계 약화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출처 : 산경e뉴스(http://www.skenews.kr)
기업가치 3배 퀀텀점프한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소재-식량 글로벌 확장 올인" (2) | 2024.01.09 |
---|---|
국내 가동원전 안전점검 '상시체제' 전환 (1) | 2024.01.07 |
전기조합 올해 3000억원 이상 계약물량 확보...문희봉 이사장 4일 열린 신년회서 밝혀 (2) | 2024.01.04 |
1일 일본 강진으로 원전 16기 이상 징후...비슷한 시기 건설된 월성원전 안전 "빨간불" (1) | 2024.01.04 |
[사설] 민영화로 해석해도 무방할 한전 사장 2024년 신년사 "도대체 어떻길래"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