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e뉴스] 2050 탄소중립 시대를 향한 에너지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다.
우리나라 역시 재생에너지 확대와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치 않다.
기술, 제도, 지역 수용성 등 여러 난관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는 필연적으로 에너지 거버넌스의 구조 변화를 요구한다.
이는 대형발전소와 원자력 중심의 중앙집중형 모델에서 벗어나 분산형, 참여형 체계로 나아가는 방향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사회적 반작용이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를 단순한 찬반 구도로 몰아가는 방식은 갈등만 키울 뿐이다.
재생에너지를 늘린다고 해도 원자력을 당장 없앨 수는 없기 때문이다.
에너지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책임의 재구성이다.
무엇보다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원자력은 안정적이고 막대한 공급 효율성을 가진 에너지이면서도 위험 기술이라는 점이다.
이는 반대나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통제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해야 할 대상이라는 뜻이다.
반면, 재생에너지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간헐성과 지역 분산성으로 인해 계통 대응력이 취약하다는 점이 극복되어야 할 과제다.
[이정윤 칼럼] "30%" 그것은 이제 우리가 2030년까지 대답해야 할 최소한의 목표수치 (0) | 2025.06.30 |
---|---|
[데스크칼럼] 이재명 정부의 '기후에너지부-에너지고속도로' (0) | 2025.06.26 |
[데스크칼럼] 이재명 대통령 당선된 날, 그에게 온 선물 '독배(毒杯)' (2) | 2025.06.11 |
[사설] 이재명 정부 출범 일주일 "할일이 너무 많다" (2) | 2025.06.11 |
[이정윤 컬럼] 체코 원전, 이재명 대통령 취임하던 날 전자서명으로 부리나케 최종계약 "위험성 커"...외교적 리스크 관리 절실 (4) | 2025.06.09 |